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2)
이슬아의, <재능과 반복> 열아홉 살 때는 재능에 관해 자주 생각했다. 글쓰기 수업에서 친구의 글과 내 글을 비교하다가 질투에 사로잡히는 시절이었다. 내가 더 잘 쓴 것 같다며 우쭐해지는 날도 있었지만 다음 주에 친구가 써온 새로운 글을 읽다보면 도저히 따라잡을 수 없다는 낭패감이 들기 일쑤였다. 수업에서 우리는 정서적으로 엎치락뒤치락하며 매주 한 편의 글을 썼다. 이슬아 ‘일간 이슬아’ 발행인 글쓰기 교사 나는 나에게 재능이 있는지 궁금했다. 재능은 누군가를 훨씬 앞선 곳에서 혹은 훨씬 높은 곳에서 출발하게 만드는 듯했다. 재능이 있다면 더 열심히 쓸 참이었다. 만약 없다면 글쓰기 말고 다른 일을 열심히 해볼까 싶었다. 어떤 어른은 나에게 재능이 있다고 말했다. 어떤 어른은 나에게 재능이 없다고 말했다. 스물아홉 살인 지금은 더..
연구활동가의 질적연구법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질적 연구 논문 작성법 질적 연구 논문 작성법 조용환(사범대 교육학과 교수) 1. 전통적인 질적 글쓰기 1) 흔히 사용되는 몇 가지 조직 방법 (1) 자연사 접근: 시간의 흐름, 장면의 전개 과정에 따라 쓴다. (2) 초점식 접근: 초점 수렴적(多에서 一로) 혹은 초점 확산적(一에서 多로) 접근 (3) 연구문제별 접근: 설정한 연구문제 하나하나에 답하듯이 쓴다. (4) 집단별 접근: 이해(理解/利害) 관심, 관계의 집단/하위집단별로 쓴다. (5) 기술-분석-해석 접근: 기술에 이어 분석, 그에 이어 해석 순으로 쓴다. (6) 주제별 접근: 발견한 문화주제의 구조에 따라 구분하여 쓴다. (7) 일화적 접근: 전형적 체험을 중심으로 일화를 소개하고 분석하는 식으로 쓴다. 2) 아래 질문들에 대한 답변 형태로 써 나간다. (1) 무..
질적 인식이란? 1사물을 최대한 ‘있는 그대로’ 보기 위해서 인위적인 개념, 범주, 표준, 척도등을 통한 부차적 감환(reduction)을 최소화하고자함. 2연구자 자신의 사고와 눈과 언어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 감수성을 가짐으로써 연 구의 과정에 알게 모르게 개입되는 자신을 관찰함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2 https://junie883.blog.me/221418115513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비교 출처 : http://blog.naver.com/kik0426/10002692267 ​ ▷▶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비교 1) 철학적 배경의 비교 양적연구는 실증주의를 그 철학적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개인의 주관적인 심적상태와 관계없이 사회현상의 사실과 그 원인을 추구하는데 반해서 질적연구는 현상학적 접근을 철학적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인간의 행동을 행위자 자신의 준거틀(frame of reference)에서부터 이해하려고 한다. 이러한 이유는 인간의 상징적 의미의 세계에 살고, 이 의미들이 인간의 행위를 지도해 준다는 전제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의 세계는 주관적으로 의도된 의미의 세계이므로 이러한 사회 행위자의 의도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간행위를 서술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이런 입장에서 보면, 진리라든..
석사논문 쓰는 요령 4탄 ▣ 석사논문 쓰는 요령(4탄) ​ 출처 : https://blog.naver.com/ilsangson/150009484087 ​ 아직도 논문시리즈를 읽고 있는가? 논문을 쉽게 쓰는 법이란 없다. 논문시리즈는 모두 그냥 우스게 소리일 뿐. 그대가 진정 읽어야 할 것은 이 글이 아니다. 연구논문을 검색해라. Key article을 찾아 독파해라. 그리고 참고문헌을 기초로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읽어라. 그게 바로 그대 논문의 출발선이다. 기왕 쓸거면 독하게 맘먹고 얼른 시작해서 해치워라. .
석사논문 쓰는 요령 3탄 석사논문 쓰는 요령 3탄 ▣ 석사논문 쓰는 요령(3탄) ​ 출처 : https://blog.naver.com/ilsangson/150009484118 ​ ​ 논문을 쓰기 전 다음을 되새겨 보았는가? * 논문을 쓰기 전 나는 선행연구를 얼마나 리뷰 하였는가? --> 알아야 면장을 한다. 기본 공부 없이 논문을 시작하면 아주 오래 걸린다. 선행연구를 충분히 공부한 후 논문을 쓰기 시작하면 자기만의 논문을 탄생시킬 수 있다. * 이 논문은 연구를 위한 것인가 업적을 위한 것인가? --> 경우에 따라서 편수를 채울 필요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스스로가 아무리 하찮은 연구자라도 연구는 연구이다. 예술가가 작품을 만드는 마음으로 심혈을 기울이자. * 나만 읽고 좋아할 논문인가 누군가에겐 정말 필요한 논문인가? --..